매주 수요일, 안철준 촌장의 <수요레터> 입니다 👀 IT, 테크, 트렌드를 이야기합니다. 수요일의 테크엔돌핀 💊
매주 수요일 오전 9시 발행합니다. |
|
|
|
안녕하세요, 촌장입니다.
지난 주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NVIDIA의 AI 컨퍼런스인 GCT2025가 열렸습니다. NYT의 기자는 이번 행사를 ‘AI의 슈퍼볼’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요. 그 만큼 전세계 AI 관련 기업과 담당자들에게 뜨거운 관심을 받은 행사였기 때문일 겁니다. NVIDIA의 위상은 한창 때의 애플을 보는 듯 합니다. 무려 25,000명이 이번 행사에 참관을 했구요. 뜨거운 행사 분위기 만큼이나 호텔 가격도 폭등해서 주변 시세가 하루에 1,800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하네요. |
|
|
기존 블랙웰의 판매가 계속해서 호조를 보이고 있고, 새로운 칩인 ‘루빈’을 2026년에 선보일 것으로 예고하기도 했죠. 루빈의 울트라 버젼은 블랙웰의 14배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발표했죠. GPU 가속기의 업데이트 뿐 아니라, 엔터테인먼트, AI 에이전트, 자동차, 제조 등 수많은 산업 분야에 걸쳐 NVIDIA의 영향력과 비젼을 선보이는 말 그대로 AI의 뷔페같은 이벤트였습니다. 젠슨 황은 대본 작성 없이 즉흥적으로 발표를 진행하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. CEO가 대본도 없이 2시간이 넘는 시간의 발표를 혼자서 이끌어 간다는 건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. 기술, 전략, 마케팅 등과 관련된 회사의 모든 키워드들을 꿰뚫고 있어야만 가능한 거죠. 가죽자켓은 여전히 변함 없습니다. |
|
|
이번 발표의 마지막은 로봇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. GTC에서 젠슨 황이 기조연설을 마칠 무렵 귀여운 로봇 하나가 무대에 등장합니다. 이 로봇의 이름은 Blue였는데요. 스타워즈나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나올 법한 모습을 지닌 Blue가 젠슨 황의 대화와 지시에 반응하면서 강아지처럼 귀여운 모습을 보였습니다. 귀여운 모습 안에 무언가 특별해 보이는 이 로봇의 비밀은 바로 엔비디아가 새롭게 공개한 'Newton' 엔진이 숨어 있다는 점입니다. |
|
|
젠슨 황은 물리 AI와 로봇 분야가 앞으로 AI의 발전과 함께 엄청난 성장을 이룰 분야라고 강조했습니다. 하지만 이 성장을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합니다.
첫 번째는 훈련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. 두 번째는 모델 아키텍처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하는 점이고, 마지막으로 스케일링의 문제를 언급했습니다.
NVIDIA는 기존의 Omniverse 플랫폼과 Cosmos라는 데이터 확장 기술을 접목하여 이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 Cosmos는 기존 데이터를 엄청난 규모로 확장해 내는 데이터 스케일링 기술인데, 이를 통해 수많은 물리 세상의 조건들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합니다. |
|
|
또한 젠슨 황은 로봇 학습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보상을 통해 강화시켜야하는가 하는 문제를 언급합니다. 그는 이 보상이 '검증 가능한 물리 법칙'이어야 한다고 설명하며, 이 때문에 로봇 학습을 위해 물리 엔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
Newton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엔비디아가 DeepMind, Disney Research와 함께 개발한 고도로 정밀한 물리 엔진이에요. 오픈 소스이며, NVIDIA의 CUDA-X 가속 라이브러리인 'Warp'를 활용해 GPU의 병렬 처리 능력을 극대화하여, 수천 개의 로봇과 사물이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미분 가능한 물리 시뮬레이션 기능과 MuJoCo-Warp 호환성, 사용자 정의 가능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복잡한 물리적 상황까지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 Newton 엔진 덕분에 개발된 Blue는 실제 물리 세계를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반영해서 학습된 모델입니다. |
|
|
실생활에서 Blue 같은 녀석이 어디에 유용할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. 하지만, 옆에 두면 꽤나 귀엽고 행복해질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. 조만간 우리 주변에서 만날 날을 기대해 봅니다.
촌장 드림 |
|
|
GTC 2025의 스타, 디즈니 드로이드 로봇 ‘Blue’ 인기 독차지
- GTC 2025 기조연설에서 유일한 게스트로 초대된 디즈니의 드로이드 로봇 ‘Blue’가 화제가 되고 있다. 베시는 젠슨 황 CEO의 연설 막바지에 등장해 무대를 뛰어다녔으며, 행사장 곳곳에서도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았다.
- 2023년 10월 첫 공개된 이후 디즈니랜드에서 종종 등장했으며, 올해 말부터 도쿄 디즈니 리조트 등에서도 볼 수 있다. Blue는 엔비디아의 물리 엔진 ‘뉴턴’을 활용해 강화학습으로 움직임과 감정을 학습했으며, 현재는 원격 조종 방식으로 운영된다. 디즈니는 이를 시작으로 더욱 생생한 로봇 캐릭터를 개발할 계획이라는 뉴스.
|
|
|
AI 주도권 경쟁, 중국은 왜 오픈 소스를 선택했나
- 중국의 주요 AI 기업들이 오픈 소스 모델을 대거 출시하는 것이 미국의 AI 독점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왔다.
- 오픈 소스를 통해 개발 리소스를 확보하고, 오픈AI 같은 폐쇄형 기업의 수익성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라는 지적이다. 알리바바, 텐센트, 바이트댄스, 바이두 등이 최근 오픈 소스 전환을 선언하며, 중국 AI 생태계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.
- 오픈 소스를 활용하면 글로벌 인재와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, GPU 제재 속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. 중국의 AI 오픈 소스 전략이 미국의 독주를 견제하는 ‘반격의 시작’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는 뉴스.
|
|
|
픽셀 9a: 텐서 G4 칩과 듀얼 카메라로 무장한 499달러 스마트폰
- 구글이 최근 ‘픽셀 9a’를 공식 발표했다. 이 스마트폰은 듀얼 카메라 시스템과 텐서 G4 칩을 탑재했으며, 가격은 499달러로 책정되었다.
- 픽셀 9a는 구글의 다양한 AI 기능을 지원하며, ‘30시간 이상의 배터리 수명’을 제공한다고 한다. 이러한 사양과 가격대로 인해 픽셀 9a는 중급 스마트폰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.
- 애플의 중저가 모델 아이폰 16e의 강력한 대항마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뉴스
|
|
|
- 경품 :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(설문응답 50명) | 교촌치킨 콜라세트 (좋은질문자 5명)
- 3월 26일 (수) 오후 2시 👉 웨비나 사전등록 하기
|
|
|
- 경품 :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(좋은질문 5명), 굽네치킨 세트 (무료보안진단서비스 신청자 30명), 무선충전데스크패드 세트 (보안브라우저 PoC 신청자)
- 4월 1일 (화) 오후 2시 👉 웨비나 사전등록 하기
|
|
|
Copilot 효과 없다면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(씨앤토트 권혁란 부장) |
|
|
- 오늘 수요레터 잘 읽으셨나요?
- 소중한 피드백 남겨주세요 👉 바로가기
|
|
|
- 테크엔돌핀 💊 의 에너지를 매주 수요일 오전 9시 받아보세요! 👉 구독하기
|
|
|
(주) 채널온티비 help@chontv.com
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593-10, 지하 1층 / 02-6949-4298
|
|
|
|
|